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부동산정보7

부부 아파트 공동명의 장단점 정리 안녕하세요! 허니인포 입니다. 제일 먼저 부부가 아파트로 입주할 때 공동명의로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요. 공동명의를 할 경우 장점과 단점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오늘 소개해드릴 정보는 아파트 공동명의 장단점 요약정리를 해봤습니다. > 아파트 공동명의는?​ 보통 부동산의 매매시점에 명의자가 한사람인 경우 단독명의라 하지만 두명이상의 명의자가 소유한 부동산의 지분을 나누어 가지는 경우는 공동명의라고 하지요. 꼭 똑같은 비율은 아니며 다른 비율로도 가질 수 있습니다. 공동명의를 할 경우 파생되는 이익이나 그에 따른 조세 및 책임까지 같이 가져가기 때문에 책임부분을 나눠가지게됨으로써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아파트 공동명의 장점 장점은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상속세, 양도소득세가 있습니다.. 2020. 3. 31.
부동산 계약시 허위매물 확인하는 방법 꼼꼼히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허니인포입니다. 이사할 때나 매물을 새로 얻을 때 시세매물보다 너무 저렴한 가격의 매물로 부동산 허위매물을 올려두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실제로 가보게 되었을 때 매물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요. 바쁜 시간 쪼개서 부동산에 방문했는데 매물이 없을 경우 정말 힘이 빠지는 일이 아닐 수 없죠? 그래서 오늘 소개해드릴 정보는 부동산 허위매물 확인방법에 대해 요약해보았습니다. 매물 등록날짜 확인하자 아파트는 인기가 좋은 로얄층이나 로얄동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좋은 매물은 오랜 시간 방치가 되지 않고 빠른 시일내에 나가게 됩니다. 보통 인터넷에 올린매물을 끝까지 관리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업데이트 된지 오래된 매물은 없는 매물일 경우가 많습니다. 저렴하고 좋은 매물은 남들이 봐도 좋은.. 2020. 3. 31.
4월1일부터 변경된 주택연금 가입조건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허니인포입니다. 지난 12일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538명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들은 평균 7억 원이 있어야 노후대비가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했는데요. 하지만 이 금액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은 35.6%에 그친 반면, 64.4%는 “(노후)자금 마련을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만큼 많은 직장인들에게 노후준비는 큰 과제임을 알 수 있죠. ​ 정부는 이러한 노후 부담을 줄이고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62~65세)까지의 소득 공백 기간을 메우기 위해 주택연금 가입연령을 만60세에서 만55세로 낮췄습니다. 이제 4월 1일부터는 부부 중 한명이라도 55세 이상이 된 경우 살던 집에서 계속 거주하면서 주택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주택연.. 2020. 3. 31.
2020년부터 대폭 확대되는 신혼부부전세자금대출 총정리 안녕하세요! 2020년 1월부터 전월세 보증금을 최대 2억원 (임차보증금의 90%이내)까지 융자받을 수 있는 서울시의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의 문턱은 낮아지고,혜택은 커진다고 하니 신혼부부나 청년들에게 좋은소식이네요! Q. 그렇다면 2019년과 달라진 점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구분 기존(2019) 확대(2020) 비고 결혼기간 결혼 5년 이내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인정범위 소득기준 부부합산 연소득 8000만원 이하 부부합산 연소득 9700만원 이하 타 지자체 대비 높은 주거비부담 완화, 도시근로자 소득 등 고려 지원금리 연 최대 1.2% 연 최대 3.0% 소득계층별 금리차등 적용 다자녀 최대 0.6% 추가금리 부여 대출기간 최장 8년 최장 10년 3자녀 출생지 최대 10년까지 지원 신혼부부의.. 2020. 2. 19.
월세소득공제 조건 및 신청방법 알려드려요. 안녕하세요! 사회초년생이나 젊은층에서 월세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월세를 내놓고 소득공제를 못받으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이 계셔서 오늘은 월세소득공제조건 및 신청방법 에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월세소득공제란? 월세소득공제란 지금까지 낸 월세의 약 10%를 돌려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뜻합니다. 예를 들면 월세를 한달에 50만원정도를 낼 경우에는 1년이면 총 600만원의 금액을 지출하게 되는데, 이때 600만원의 10%면 총 60만원을 다시 돌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월세소득공제조건 1. 연 7천만원 이하 / 무주택 근로자 혹은 세대원 - 3개월 이상 근로소득자 2. 임대차계약서 주소와 주민등록상 주소가 일치해야함 - 전입신고가 되어있어야 하며, 전입신고 이 후 지불 한 월세.. 2020. 1. 14.
부동산 비과세의 모든것 (비과세 혜택) 안녕하세요!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계속 오르고, 그래서 부동산 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부동산 투자를 하게된다면 세금부분도 신경을 쓰셔야 하는데요. 특히 부동산 정책이 강화되면서 부동산 비과세에 대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부동산 비과세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할게요. 먼저 부동산을 취득하게 되면 취득세를 내게 됩니다. 토지, 건축물, 차량, 기계장비, 선박, 항공기 등을 취득할때 취득하는 자가 내야 하는 세금인데요. 취득세 역시 비과세 대상이 있습니다. - 국가등에 대한 비과세 - 신탁재산에 대한 비과세 - 환매권행사에 따라 취득한 부동산 - 임시용건축물 - 공동주택 개수 - 사용할 수 없는 차량의 경우는 취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많.. 2020.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