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주유시 시동을 꺼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계시지만 간혹 귀찮다는 이유로 또는 초보 운전자의 경우 주유할 때 시동을 꺼야 한다는 것을 몰라 시동을 안끄고 주유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디젤 차의 경우 시동을 끄지 않아도 된다하지만, 디젤 차가 아니라면 주유할 때 시동을 켠 채로 주유를 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유할 때 왜 시동을 꺼야 하는지, 지금부터 알아볼까요?
주유시 시동을 꺼야하는 이유
1. 소방법 위반
시동을 끄지 않고 주유하는 것은 법을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1973년 제정된 소방법 제 76조 6항에 따르면 자동차 주유 시 차량 및 원동기는 반드시 정지시켜야 한다고 기재되어 있는데요. 더불어 시동을 켠 상태로 주유할 경우 사고 위험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적발 시 주유 업체에 1회 50만원, 2회 100만원, 3회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해아 합니다.
2. 화재 방지
엔진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자체의 정전기와 스파크가 공기 중 휘발유 유증기와 만나게 되면 바로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데요. 주유시 시동을 끄고 셀프주유소 이용 시, 정전기 방지 패드를 한 번 만지고 주유해주는 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
3. 혼유 사고 방지
종종 경유차에 휘발유를 넣는 혼유 사고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는 주유기 크기가 휘발유 차량 주입구보다 커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서라고 하는데요. 경유차에 휘발유가 들어갈 경우 엔진이 망가지고 심할 경우 바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주유시 시동을 끈 채 혼유 사고가 발생한 경우 가까운 정비소에서 기름을 빼낸 후 엔진세척을 통해 복구할 수 있지만, 시동을 켠 채로 혼유사고가 발생했다면 혼합유가 엔진으로 들어가서 복구에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듭니다.
4. 기름 절약
주유할 때 시동을 끄면 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평균적인 주유 시간은 3-5분에 불과하지만, 이 시간 동안 시동을 끄고 있으면 요구르트 병 분량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어요. 한국 주유소 협회에 따르면 주유시 차량 엔진을 정지하는 것만으로도 연간 192억의 기름값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기름 한방울이 모여 커지는법! 작은 습관으로 기름을 절약해보세요.
5. 환경오염
시동이 켜져 있는 차량은 환경 오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끊임없이 배출합니다. 주유시 소요되는 시간은 5분 내외에 불과하더라도 이 시간동안만 엔진을 꺼주면 대기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내 차량에도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유할 때는 잠시 차량에 휴식도 줄 겸 시동을 끄고 주유하는 것이 차에게도 환경에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죠?
주유할 때 시동을 꺼야 한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고 있어도 왜 그래야 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이 계셨을 텐데요. 작은 인식의 변화가 변화된 행동을 만들며, 이것이 보다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유 중 시동을 꼭 꺼야 하는지 고민하셨다면, 오늘부터라도 실천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시동을 끈 순간 여러분은 올바른 주유 문화를 만들어가는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 띠띠빵빵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는 어떻게 운전해야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할까요? 임산부 운전상식 (0) | 2019.10.18 |
---|---|
초보운전 고속도로 꿀팁! 고속도로 주행상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19.10.18 |
중고차 구매 시 침수차량 확인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0) | 2019.10.16 |
비올때 운전 요령과 주의사항은 뭐가 있을까? (0) | 2019.10.16 |
주행중 갑자기 타이어에 펑크가 났다면? (0) | 201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