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꺼번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도로에서 운전을 하는 것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닙니다. 비 때문에 도로가 매우 미끄러워져 자칫 핸들을 과조작했다가는 어김없이 차체가 차로를 이탈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비올 때 운전요령에 대해 소개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빗길 안전운전을 위한 기초 상식!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해볼까요?
1. 과속은 금물!
빗길에서의 과속은 안전운행의 가장 큰 적! 빗길은 미끄러워 속도가 빨라질수록 핸들 제어가 어려워집니다. 그렇다면 비가 내리지 않는 도로에서는 속도를 높여도 별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정답은 그렇지 않다 입니다. 속도가 빠르면,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을 조작해 자동차의 주행에 반영되는 시간 이내 이미 자동차는 운전자의 주행 의도를 벗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감속은 안전운행ㄴ을 위한 절대적인 요소가 됩니다. 빗길이나 젖은 노면 상태에서는 도로별 법정제한속도보다 20%에서 최고 50%까지 감속 운행해야 합니다. 대체로 비 오는 날의 주행속도는 규정 속도보다 2분의 1로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특히 시속 70km 이상 달릴 때 나타나는 수막현상은 숙련된 운전자라 해도 핸들 조작이 어려워집니다.
비 오는 날 교통 사고 원인의 대부분은 과속으로 인한 경우이며, 평상시 운전습관대로 운행해도 과속이 됩니다. 따라서 비 오는 날 최상의 운전은 속도를 줄이고 앞차와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면서, 차량의 흐름을 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젖은 도로 특성 파악하기
비가 와서 젖은 노면과 평상시 건조한 노면에서의 제동력은 큰 차이가 납니다. 여기에 타이어 마모상태나 아스팔트 노면 상태, 제동장치의 성능, 자동차의 적재 상태 등을 고려하면 제동력 차이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이 같이 노면이 젖은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리한 제동 여건을 감안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운행 감각으로 제동을 시도하면 사고 위험을 한층 더 높이게 되는데요.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라면 운행차량ㄴ의 방향 전환 시 노면과 타이어 간 마찰력이 떨어져 작은 조작만으로도 운행차량의 주행 경로가 매우 쉽게 바뀌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비올 때 운전은 수막현상과 함께 노면의 타이어 간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마찰계수가 떨어지는 상황이 겹쳐 사고 위험을 배로 높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비 오는 날 접촉사고가 잦은 것도 바로 이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서의 과속은 큰 위험이 되기 때문에, 비온 뒤 아스팔트 노면에 파인 작은 물웅덩이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3. 시야 확보하기
비올 때 운전을 하게되면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차질이 생깁니다. 자동차 앞 유리창을 적실 정도의 비라 해도 정상적인 날씨에서의 운전에 비해 가시거리가 훨씬 떨어지고, 여기에 와이퍼를 작동시킬 경우 시야 확보는 더욱 불량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폭우가 쏟아진다면 와이퍼를 더욱 빨리 움직여야 하는데, 와이퍼 작동에 따른 시야의 불안정성과 함께 전방이나 후면, 후방 등 운전자가 인지해야할 자동차 주변 상황에 대한 인지도 역시 현저히 감소됩니다.
자동차 속도는 주행 방향의 시야 확보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전방 시야는 극단적으로 좁아지는 반면, 속도가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시야는 현저히 확대됩니다.
비가 와서 시야 확보가 불안정하다면 아무리 나 자신이 조심해도 다른 자동차에 의해 교통사고 위험에 빠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력이 필요합니다.
빗길 안전운전의 한 방법으로 도로 중앙을 피해 운전하는 것도 있는데요. 반대편에서 물이 튀어 차선이 넘어오는 경우 시야 확보에 장애가 빚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내 에어컨 가동은 비 오는 날 유리창에 발생하기 쉬운 김 서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니 적절히 가동하면서, 외부 공기 유입을 통해 실내 환기를 꾀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위도우 와이퍼 고무날 확인, 타이어 트래드 홈 확인, 유리세정제 확인 등도 비오는 날 안전운전을 대비하는 방법이니 참고해주세요.
'자동차 > 띠띠빵빵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시 시동을 반드시 꺼야 하는 이유 (0) | 2019.10.16 |
---|---|
중고차 구매 시 침수차량 확인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0) | 2019.10.16 |
주행중 갑자기 타이어에 펑크가 났다면? (0) | 2019.10.16 |
접촉사고 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0) | 2019.10.16 |
자동차 선루프 좋을까? 선루프 장점 단점 총정리 (0) | 2019.10.16 |